농산물품질관리사 자격 취득 과정


농산물품질관리사 자격 취득 소개
농산물 원산지 표시 위반 행위가 매년 급증함에 따라 소비자와 생산자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원산지 표시의 신뢰성을 확보함으로써 농산물의 생산자 및 소비자를 보호하고 농산물의 유통질서를 확립하기 위하여 도입됨. 농산물의 등급판정 및 농산물의 출하 시기 조절, 품질관리기술 등에 대한 자문과 그밖에 농산물의 품질향상 및 유통 효율화에 관하여 필요한 업무로써 농림수산식품부령이 정하는 업무를 담당. (이상 모든 내용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 발췌)


자격정보


농산물품질관리사 자격 평가기준
농산물품질관리사 자격 취득을 위한 강좌
구분 시간(차수) 과정명 세부내용
농산물품질관리사 자격증 과정 1교시 농수산물 품질 관련 법령 (1) 농산물 우수관리 / GAP 인증기관 / 이력추적관리
2교시 농수산물 품질 관련 법령 (2) 지리적 표시 및 심판 / 안정성 조사 / 농산물의 검사 및 검정
3교시 농수산물 품질 관련 법령 (3) 유통법 총칙 / 유통협약 / 도매시장법인 및 영업제한
4교시 농수산물 품질 관련 법령 (4) 공판장 / 농수산물 유통기구의 정비 / 교육훈련 등
5교시 농수산물 품질 관련 법령 (5) 과징금 / 원산지 표기 총칙 / 거짓 표시등의 금지
6교시 원예 작물학 (1) 식물의 생활환 / 원예식물 서설 / 자연분류법에 의한 분류
7교시 원예 작물학 (2) 원예식물의 생육 및 환경
8교시 원예 작물학 (3) 재배기술 / 원예식물의 품종 및 번식 / 특수원예
9교시 수확 후의 품질관리론 (1) 성숙과 수확 / 수확 후의 생리작용 / 품질구성과 평가
10교시 수확 후의 품질관리론 (2) 교환 / 신선 편이 농산물 표준규격 / 예냉 / 저장전 처리
11교시 수확 후의 품질관리론 (3) 저장 / 수확 후의 장애 / 안정성 / 수송
12교시 농산물 유통론 (1) 농산물 유통의 기능 / 유통 조성 기능 / 유통기구
13교시 농산물 유통론 (2) 농산물 거래 / 선물 거래 / 공동 판매 / 농산물 공급
14교시 농산물 유통론 (3) 농산물 공급 / 공급의 탄력성 / 유통마진 / 마케팅
15교시 농산물 유통론 (4) 마케팅 전략 / 포장과 상표화
16교시 품질관리 실무와 등급판정 (1) 총칙 / 지리적 표시
17교시 품질관리 실무와 등급판정 (2)/td> 유전자변형 농산물 / 원산지 표시에 관한 법률
18교시 품질관리 실무와 등급판정 (3) 원산지법 / 표준규격
19교시 품질관리 실무와 등급판정 (4) 등급규격
20교시 품질관리 실무와 등급판정 (5) 수확 후 품질 기술
농산물품질관리사 자격 취득을 위한 평가방법 및 합격 기준
구분 과목 합격기준
1차시험 관계법령 / 원예작물학 / 수확 후 품질관리론∙농산물 유통론 1차 - 객관식(4지 택일형)∙2차 – 주관식(단답형 및 서술형) / 과목당 각 40문항(1교시당 80문항)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득점 시 합격 / 과목당 40점 미만 시 과락
2차 시험 농산물 품질관리 실무 / 농산물 등급판정 실무


농산물품질관리사 자격 취득 후 전망 및 특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