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이 점차 대형화, 고층화, 밀집화되어 감에 따라 화재 발생 시 진화보다는 화재의 예방과 초기진압에 중점을 둠으로써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격제도 제정. 소방설비공사 또는 정비업체 등에서 소방공사의 설계도면을 작성하거나 소방설비공사를 시공, 관리하며, 소방시설이 점검·정비와 화기의 사용 및 취급 등 방화안전관리에 대한 감독, 소방계획에 의한 소화, 통보 및 피난 등의 훈련을 실시하는 방화관리자의 직무수행.
(이상 모든 내용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 발췌)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분야) 자격증 취득을 위한 강좌
구분 |
시간(차수) |
과정명 |
세부내용 |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분야) 자격증 과정 |
1교시 |
소방원론 (1) |
연소 – 3요소 / 4요소 |
2교시 |
소방원론 (2) |
연소점 / 인화점 / 발화점 / 연소범위 |
3교시 |
소방원론 (3) |
생성물 / 열∙연기 / 연소형태 / 연소공식 |
4교시 |
소방원론 (4) |
화재의 종류 / 폭발 / 건축물 및 건축 구조 |
5교시 |
소방원론 (5) |
위험물 / 방화안전 |
6교시 |
소방유체역학 및 열역학 (1) |
유체의 정의 및 분류∙단위 / 차원해석 / 밀도비중량 |
7교시 |
소방유체역학 및 열역학 (2) |
유체의 정역학 (압력, 파스칼의 원리, 액주계 등) |
8교시 |
소방유체역학 및 열역학 (3) |
유체의 동역학 (레이놀즈수, 연속방정식, 베르누이 방정식) |
9교시 |
소방유체역학 및 열역학 (4) |
운반 및 호스의 동수력학 / 유체 계측기기 / 펌프 |
10교시 |
소방유체역학 및 열역학 (5) |
열역학 |
11교시 |
소방 관계법규 (1) |
소방기본법 |
12교시 |
소방 관계법규 (2) |
소방시설 설치유지 관리법 (1) |
13교시 |
소방 관계법규 (3) |
소방시설 설치유지 관리법 (2) |
14교시 |
소방 관계법규 (4) |
공사업법 |
15교시 |
소방 관계법규 (5) |
위험물법 |
16교시 |
소방기계 시설의 구조 및 원리 (1) |
소방 배관 밸브 / 소화 기구 / 자동 소화장치 |
17교시 |
소방기계 시설의 구조 및 원리 (2) |
옥내 소화전 / 펌프 동력 / 옥외 소화전 |
18교시 |
소방기계 시설의 구조 및 원리 (3) |
스프링클러 / 물분무∙미분무 소화설비 / 포소화설비 |
19교시 |
소방기계 시설의 구조 및 원리 (4)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 할론 소화설비 /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
20교시 |
소방기계 시설의 구조 및 원리 (5) |
분말 소화설비 / 피난구조설비 / 제연설비 / 연결 송수관∙살수 |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분야) 자격증 취득을 위한 평가방법 및 합격 기준
구분 |
과목 |
합격기준 |
필기시험 |
소방원론 / 소방유체역학 / 소방 관계법규 / 소방전기 시설의 구조 및 원리
|
필기 시험 - 객관식(4지 택일형) / 필기 시험 과목당 각 20문항(총 80문항)
필기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득점 시 합격 / 과목당 40점 미만 시 과락 |
실기시험 |
소방기계 시설 설계 및 시공 실무
|
실기 시험 – 필답형(2시간 30분) / 60점 이상 득점 시 합격
|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분야) 자격증 취득 후 전망 및 특전
상경계 전공자의 물류산업 전반 이해
비 상경계 졸업자의 물류 산업 실무 습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