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의 적절한 품질관리를 통하여 안정성을 확보하고, 상품성을 향상하며 공정하고, 투명한 거래를 유도하기 위한 전문인력을 확보하기 위함. 수산물의 등급판정, 수산물의 생산 및 수확 후 품질관리, 기술지도 수산물의 출하 시기 조절 및 품질관리 기술지도, 수산물의 선별 저장 및 포장시설 운영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
(이상 모든 내용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 발췌)
-
자격증 주무부처해양수산부
시행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수산물품질관리사 자격증 교육과정 스케치
수산물품질관리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강좌
구분 |
시간(차수) |
과정명 |
세부내용 |
수산물품질관리사 자격증 과정 |
1교시 |
수산 일반 (1) |
수산업의 현황 및 전망 / 수산업 정보의 의의 |
2교시 |
수산 일반 (2) |
수산자원의 종류 / 수계의 자원 / 계군 분석법 |
3교시 |
수산 일반 (3) |
신고어업 / 어구와 어법 주요 정리표 / 주요 어업 |
4교시 |
수산 일반 (4) |
수산양식 / 수산업 관리제도 |
5교시 |
수산 일반 (5) |
수산식품 원료의 특성과 가공 / 수산물의 기능성 성분 |
6교시 |
수산물품질 관련 법령 (1) |
품질인증기관 / 지리적 표시의 심판 / 안정성 검사기관 |
7교시 |
수산물품질 관련 법령 (2) |
수산물 검사관 / 농산물 유통 및 가격 안정에 관한 법률 총칙 |
8교시 |
수산물품질 관련 법령 (3) |
친환경농어업법 총칙 / 무농약수산물의 인증 |
9교시 |
수산물품질 관련 법령 (4) |
원산지 표시에 관한 법률 / 거짓표시 금지 / 이력추적관리의 표시 |
10교시 |
수산물 유통론 (1) |
수산물 유통의 기능 / 유통기구/ 유통 기관의 유형 |
11교시 |
수산물 유통론 (2) |
소매시장∙선물 거래 / 유통시장의 변화 |
12교시 |
수산물 유통론 (3) |
수산물의 공급 / 수산물 수요의 소득탄력성 |
13교시 |
수산물 유통론 (4) |
마케팅 조사방법론 / 소비자 구매 행동 / 전략 /수산물 무역 |
14교시 |
수확 후 품질관리론 (1) |
수산물의 특성 / 사후 변화와 선도 / 저장 |
15교시 |
수확 후 품질관리론 (2) |
냉장 수산물의 제조 / 해동 방법 |
16교시 |
수확 후 품질관리론 (3) |
수산식품 원료의 특성과 가공 / 기능성 성분 / 레토르트 |
17교시 |
수확 후 품질관리론 (4) |
안정성 및 위생관리 / HACCP 관리의 개발원칙과 절차 |
18교시 |
수산물 품질관리 및 등급판정 실무 (1) |
이력추적관리 / 지리적 표시권 / 지정해역의 지정 |
19교시 |
수산물 품질관리 및 등급판정 실무 (2) |
원산지 표시에 관한 법률 / 수산물의 이식과 이동 / 수산양식 |
20교시 |
수산물 품질관리 및 등급판정 실무 (3) |
수산물의 변질 / 냉동식품 / 선별과 포장 / 수산물의 가공 |
수산물품질관리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평가방법 및 합격 기준
구분 |
과목 |
합격기준 |
∙1차 시험 |
수산물품질관리 관련 법령 / 수산물 유통론 / 수확 후 품질관리론 / 수산 일반
|
객관식(4지 택일형) / 과목당 25문항(총 100문항) / 필기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득점 시 합격
과목당 40점 미만 시 과락 |
∙2차 시험 |
수산물품질관리 실무 / 수산물 등급판정 실무
|
단답형 및 서술형 / 단답형 20문항, 서술형 10문항(총 30문항) / 60점 이상 득점 시 합격
|
수산물품질관리사 자격증 취득 후 전망 및 특전
상경계 전공자의 물류산업 전반 이해
비 상경계 졸업자의 물류 산업 실무 습득